본문 바로가기

쓰다3068

33년 전 오늘 8편 "지휘체계 이원화 의혹" 8. 33년 전 오늘 8편 "지휘체계 이원화 의혹" http://zxy.kr/07b (앵커) 5.18의 여러 풀리지 않는 의혹 중에 계엄군끼리의 오인사격처럼 상식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것들이 많습니다. 33년 전 오늘 기획보도 여덟번째 순서, 오늘은 실제로 계엄군을 움직인 세력의 실체룰 알아보겠습니다. 김철원 앵커입니다. (기자) 33년 전 오늘은 5.18 기간 동안 가장 많은 군인들이 숨진 날입니다.(1980.5.24.토요일. 오후늦게 비(12.6mm). 낮최고기온 26.8도) 송암동에서 11공수 10명, 호남고속도로에서 31사단 3명 등 이날 하루만 13명의 군인들이 총에 맞아 숨졌습니다. 시민군과의 총격전이 아닌 계엄군 내 다른 부대 군인들과의 오인사격 과정에서였습니다. 같은 지휘 라인에 있는 군인들.. 2013. 6. 18.
33년 전 오늘 7편 "미궁의 민간인 학살" 7. 33년 전 오늘 7편 "미궁의 민간인 학살" http://zxy.kr/07a (앵커) 5.18 때 계엄군은 수많은 민간인 학살을 자행했습니다. 저항 의사가 없는 고령의 노인과 만삭의 임산부, 심지어 초등학생까지 조준사격으로 사살했습니다. 이 민간인 학살도 아직껏 그 진상이 다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김철원 앵커입니다. (기자) 도청에서 철수한 계엄군들이 광주와 화순을 잇는 외곽도로를 막고 차량을 일일이 검문하고 있습니다. (1980.5.23.금요일. 구름많음. 낮최고기온 25.8도) 여기서 얼마 안 떨어진 주남마을 앞 도로에서는 33년 전 오늘, 계엄군이 광주에서 화순으로 가던 미니버스를 집중사격했습니다. (인터뷰)신길순/농민(주남마을 주민) "집에 오는데 냄새가 펄펄 나. 몇 명이 죽은 줄 몰라. .. 2013. 6. 18.
33년 전 오늘 6편 "시민공동체의 등장" 6. 33년 전 오늘 6편 "시민공동체의 등장" http://zxy.kr/079 (앵커) 광주MBC 5.18 연속기획보도 '33년 전 오늘' 이번 시간엔 항쟁 열흘 동안 시민들이 보여준 헌신과 도덕성, 그리고 높은 수준의 시민의식을 조명해보겠습니다. 항쟁에 참여했던 광주시민이라면 누구나 서로 돕고 나눴던 대동의 기억이 생생하실 겁니다. 김철원 앵커와 함께 그 때로 돌아가 보시죠. (기자) 계엄군이 물러가고 해방 광주의 첫 아침이 밝았습니다. (1980.5.22.목요일. 구름많음. 낮최고기온 28도) 도청 앞 광장엔 계엄군을 몰아냈다는 기쁨보다 가족을 잃은 슬픔이 가득했습니다. (녹취)"내가 원수를 갚겠습니다. 제가 총 쏴서 죽여버릴거다. 이 개새끼들아. 아~" 내 남편, 내 아버지, 내 자식의 이름이 저.. 2013. 6. 18.
33년 전 오늘 5편 "누가 시민을 쏘았나" 5. 33년 전 오늘 5편 "누가 시민을 쏘았나" 도청 앞 집단발포 http://zxy.kr/078 (앵커) 33년 전 오늘은 5.18 열흘 동안의 최대 비극인 도청 앞 집단발포가 있었던 날입니다. 우리나라 군인들이 자국민을 상대로 총을 쏜 이 충격적 사건은 아직껏 진상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김철원 앵커입니다. (기자) 평일이었지만 부처님 오신날이라 쉬는 날이었던 수요일, 금남로엔 아침부터 시민들이 구름처럼 몰렸습니다. (1980.5.21.수요일.맑음. 낮최고기온 26.1도) 어림잡아 10만명의 군중들이 전날 밤샘시위에 이어 계엄군을 도청 쪽으로 압박했습니다. 그 자리엔 까까머리 고교생 강용주 군도 있었습니다. 강군은 계엄군도 우리 국민인데 땡볕에서 고생한다며 물을 떠다 줬습니다. 그 때가 오후 1시쯤.. 2013. 6. 18.
33년 전 오늘 4편 "언론은 어디에?" 4. 33년 전 오늘 4편 "언론은 어디에" http://zxy.kr/077 (앵커) 5.18 당시 신문과 방송은 사실을 알리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시민들을 폭도로 몰았습니다. 이같은 언론 부재 속에서 시민들은 유인물과 가두방송으로 신군부의 만행을 알리기 위해 무던히도 애를 썼습니다. 33년 전 오늘 기획보도, 김철원 앵커입니다. (기자) 광주문화방송 건물이 불타고 있습니다.(1980년 5월 20일 화요일. 낮에 비(12mm) 낮최고 17.5도) 사람들이 죽어나가는데도 이를 전혀 보도하지 않는 데 분노한 시민들이 이날 밤 MBC와 KBS 등 방송국에 불을 지른 것입니다. 항쟁 기간 동안 시민들을 폭도로 몰았던 방송들은 전두환 집권 내내 땡전뉴스로 전락했습니다. (녹취)KBS 특별기획 '광주사태'(1985.. 2013. 6. 18.
33년 전 오늘 3편 "잔인한 계엄군, 공포의 금남로" 3. 33년 전 오늘3 "잔인한 계엄군, 공포의 금남로" http://zxy.kr/076 (앵커) 광주MBC 5.18 연속 기획보도 '33년 전 오늘'. 오늘은 비극의 직접 원인으로 지목되는 계엄군의 잔혹한 진압 문제를 짚어보겠습니다. 계엄군이 휘두르는 곤봉과 대검에 당시 금남로는 피로 얼룩졌고 시민들의 얼굴에는 공포가 가득했습니다. 김철원 기자입니다. (기자) 한 시민이 쓰러져 있습니다. (1980.5.19.월요일, 밤부터 비(5.6mm), 낮최고기온 22도) 머리가 피투성이인 이 남자, 누군가의 도움을 애타게 바라는 표정입니다. 아무 이유없이 계엄군이 휘두른 곤봉에 맞은 겁니다. (인터뷰)최병귀/ 5.18 유공자(화면 속 피 흘리는 당사자) "저도 이해가 안가요. 그게. 우리가 나쁜 짓을 하고 그랬다.. 2013.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