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다/방송과 기사

2009.9.16 이주여성들 한국 명절 배우기 - 리포트 1133

by K기자 2018. 3. 21.


http://bit.ly/2G7kWlJ

(리포트)한국 명절 배우기

  • 날짜 : 2009-09-16,   조회 : 111

(앵커)
2주 앞으로 다가온 추석...
한국으로 시집 온 지 얼마 안된 
이주 여성들에게는 
낯선 명절일 수밖에 없는데요.

이런 다문화 여성들이 추석을 잘 쇨 수 있도록
한국 전통 차례상 차리기를 알려주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김철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해 22살의 판티녹씨는 1년 전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시집을 왔습니다.

열심히 배운 덕분에 말은 많이 늘었지만 그녀에게 한국의 전통문화는 여전히 낯섭니다.

명절을 보내는 방법도 베트남과 한국은 참 많이 다릅니다.

(인터뷰)판티녹/베트남 이주여성
"(베트남에서는 명절 때) 상을 이렇게 안 차리고요. 향을 피우고 이렇게 (예를 표합니다.)"

판티녹씨가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을 배우기 위해 향교를 찾았습니다.

한복 입는 법부터 시작해 절을 올리는 법, 차례상에 음식 놓는 방법 등을 유심히 지켜봅니다.

(인터뷰)탄티노/베트남 이주여성
"여기(한국) 인사를 배우고 싶어요. 그래서 나왔어요."

알록달록한 색깔들로 채워진 차례상도 이주여성들에겐 아름답고 신기한 대상입니다

(인터뷰)곤셍리/캄보디아 이주여성
(기자):"왜 찍는 건가요?
(곤셍리):"(음식들이) 예뻐서요. 예뻐서 찍었어요."

이번 행사는 주로 한국에 온 지 1년 남짓되는 외국인 새댁들을 위해 마련됐습니다.

(인터뷰)강양신 광주 남구 다문화지원팀장/
"정말 한국의 명절이 뭐고 한국의 문화가 뭔지 실질적으로 보여줘야 할 대상자들에게 실제로 맞춰서..."

물 설고 낯 선 땅에서 맞는 추석 명절이 이주 여성들에게 행복한 기억으로 남길 바래 봅니다.

MBC뉴스 김철원입니다.

영상취재 강성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