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시리즈3-저소득층 인권 (리포트)
- 날짜 : 2005-05-11, 조회 : 19
◀ANC▶
인권의 도시 광주에 사는 저소득층 주민들은
다른 지역보다 더 나은 생활을 하고 있을까요?
빈곤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다른 지역보다 많지만
열악한 자치단체의 재원 사정으로
생활은 더 열악하기 그지 없는 실정입니다.
김철원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올해 88살의 독거노인인 박순애 할머니는
요즘 걱정으로 밤잠을 이루기가 힘듭니다.
자녀들이 환갑을 넘겨 지원을 기대하기
힘든데다 한달에 20만원 남짓 받던
기초수급비가 이번달부터 끊긴 것입니다.
박할머니를 부양하지도 않는 손자에게
수입이 생겼다는 이유였습니다.
◀INT▶박순애 할머니
"그것도 감사하다. 그래도 (기초수급을) 줘서 이제껏 산 것도 감사하다. "
중풍을 앓는 아들을 뒷바라지 하며 살고 있는 올해 77살의 임근순 할머니도 어렵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아들의 장애 수당 등으로 나오는 30만원으로는
아들의 병원비는 고사하고 한달 먹고 살기조차
빠듯한 실정입니다.
◀INT▶임근순 할머니
"아쉽기야 다 아쉬운 것 아닌가? 그냥 그대로 살아야지... 내 생활대로..."
지난해 기초생활보장수급비 대상자는 광주에만
4만 9천여명. 광주시 인구의 3.6 퍼센트로
전국 평균 2.8%를 훨씬 웃돕니다.
여기에 기초수급 대상자에 끼지 못하는
차상위 계층의 사정은 더욱 힘듭니다.
생활은 똑같이 어렵지만
정부지원을 한 푼도 받지 못하는 데다
자치단체의 열악한 재정상황으로
별다른 복지혜택을 엄두도 못내는 실정입니다.
◀INT▶박광우 참여자치 21 사무처장
"열악한 재정을 핑계로 사회복지 흐지부지하지 않을지...."
지난해 말 광주에서 생활고에 시달리던
30대 가장이 6살난 아들을 살해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사건은
저소득 주민들이 얼마나 큰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는 사례입니다.
(스탠드업) 허술한 사회안전망에 기대어 하루하루를 힘겹게 살아가는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아시아의 인권도시 광주는
다른 세상에서 벌어지는
헛된 말잔치에 불과할 뿐입니다.
MBC뉴스 김철원입니다.
'쓰다 > 방송과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5.5.14 5.18 추모열기 고조 - 리포트 255 (0) | 2017.02.03 |
---|---|
2005.5.12 자폐증 고교생 시인 감동 - 리포트 254 (0) | 2017.02.03 |
2005.5.9 5.18 해결해야할 과제들 - 리포트 252 (0) | 2017.02.03 |
2005.5.5 오늘은 어린이날 - 리포트 251 (0) | 2017.02.03 |
2005.5.4 과거사법 통과는 했지만 - 리포트250 (0) | 2017.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