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다/방송과 기사

2009.1.30 건강소식 안구건조증 대처법 - 리포트 980

by K기자 2018. 2. 22.


http://bit.ly/2Fma2pt

(리포트) 안구건조증

  • 날짜 : 2009-01-30,   조회 : 56

(앵커)
날씨가 차갑고 이렇게 건조한 계절이 되면 
안구건조증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안구건조증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 알아봅니다.

(전문의)

안구건조증은 눈에서 눈물이 적게 만들어지거나 눈물이 너무 많이 증발해 안구 표면이 건조해져 생기는 질환으로 건조한 계절에 더욱 많이 생깁니다.

안구건조증이 나타나면 흔히 눈이 뻑뻑하거나 눈의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책을 조금만 봐도 눈이 피곤하고, 쉽게 충혈 되곤 합니다.

심한 경우는 눈을 뜨고 있을 수 없을 정도로 눈이 시리고 두통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또 아주심한 경우는 각막상처와 혼탁으로 시력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이 있는 분들은 눈이 건조한 상황을 피해주셔야 하는데요.

가장 흔한 것이 대기 중 습도가 낮은 경우입니다.

겨울철에는 습도가 낮고 실내 난방을 하면서 실내 습도가 더욱 떨어지게 되는데요.

환기를 자주 시켜주고 가습기 등을 틀어 실내 습도를 올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찬바람이나 더운바람 또는 헤어드라이기에서 나오는 바람도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이 때는 바람이 직접 눈에 닿는 것을 피해주어야 합니다.

집중해서 책을 보거나 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는 분들에게도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줄기 때문에 안구건조증이 나타나기 쉬운데요.

독서나 컴퓨터 작업을 할 때는 눈을 자주 깜박여 주고 눈을 조금 쉬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건강소식이었습니다.

영상취재 이정현 기자
취재협조 광주 밝은안과 주종대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