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다3068

(시사본색 정면응시)전두환의 죽음이 남긴 것 - 리포트 2591 (시사본색 정면응시)전두환의 죽음이 남긴 것 김철원2021년 11월 29일 16시 51분 (앵커) 여러분이 아시는 것처럼 전두환이 죽었습니다. 그의 죽음을 알리는 외신 보도 중에는 ‘광주의 도살자’가 숨졌다는 내용도 있습니다. 전직 대통령이지만 독재자, 학살자로 기억되는 사람. 그는 끝끝내 반성과 사죄는커녕 ‘미안하다’는 말 한마디 남기지 않았습니다. 역사가 그를 평가하겠지만, 그에 앞서 오늘 시사본색에서는 전두환이 왜 용서받기 어려운지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 김철원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앵커) 노태우씨가 사망한 지 불과 한 달이 안 돼 전두환이 사망했습니다. 그런데 두 사람의 사망을 대하는 시민들의 자세는 달라 보입니다. 왜 그렇다고 봐야 할까요? (앵커) 전두환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탄압한 독재자.. 2021. 12. 6.
(시사본색 정면응시)'기부'인가 '거래'인가 부영그룹 특혜 논란- 리포트 2590 (시사본색 정면응시)'기부'인가 '거래'인가 부영그룹 특혜 논란 김철원2021년 10월 18일 16시 13분 (앵커) 복잡한 이슈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시간 정면응시입니다. 오늘도 김철원 기자가 나왔습니다. 김 기자, 오늘은 어떤 이야기입니까? (기자) 네. 한국에너지공과대학과 관련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지난 4월에 학교 설립의 근거가 되는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고요. 6월에는 건물을 올리기 위한 착공식이 있었죠. 내년 3월 개교를 목표로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럴 수 있게 된 데는 부영그룹이 나주혁신도시에 있는 골프장 부지 일부를 한국에너지공대에 기부를 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는데요. 그런데 골프장 땅 전체를 기부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기부를 일부하고 남은 땅이 조금 있는데.. 2021. 12. 6.
'광주도시계획위원회 투명성 높이도록 더 혁신해야'- 리포트 2589 '광주도시계획위원회 투명성 높이도록 더 혁신해야' 김철원2021년 10월 06일 19시 27분 (앵커) 도심 난개발을 억제할 책임과 권한이 있는 도시계획위원회의 역할에 대한 의문이 광주시의회 시정질문에서 잇따라 제기됐습니다. 의원들은 광주시의 도시계획위원회 혁신은 말 뿐이라며 회의와 회의록을 공개하라고 한 목소리로 지적했습니다. 김철원 기자입니다. (기자) 시민들 재산권과 도심 개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도시계획위원들이 길게는 10년 넘게 연임한다는 지적에 따라 광주시는 올해 초 운영개선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위촉과 연임 횟수를 제한하고 민원인의 발언권을 보장하는 등 6개 혁신방안을 내놓은 겁니다. 그러나 광주시 혁신안이 내실이 없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도시계획위원 위촉과 연임 횟수 등은 이미 .. 2021. 12. 6.
광주의 스카이라인을 지켜라 - 리포트 2588 광주의 스카이라인을 지켜라 김철원2021년 09월 28일 20시 49분 (앵커) 최근 광주에 30층 이상의 초고층 아파트가 우후죽순 들어서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큰데요. 광주의 스카이라인, 도심 경관을 지키는 데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습니다. 메타버스 등을 이용해 건축물 높이를 미리 가늠해보는 건데요. 김철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양림동에 사는 이 할머니는 아파트 때문에 힘든 말년을 보내고 있습니다. 살던 집이 아파트로 개발됐지만 추가분담금이 없는 탓에 셋방살이 신세로 전락한데다 학동에 들어선 35층짜리 무등산 아이파크 아파트 때문에 그나마 시원하게 보였던 무등산도 더이상 볼 수 없게 됐기 때문입니다. * 김야순 (90살, 양림동) "돈은 돈대로 없어지고 집은 집대로 없어지고 .. 2021. 12. 6.
(시사본색 정면응시) - 광주의 도시계획을 말하다 3편 리포트 2587 (시사본색 정면응시) 광주의 도시계획을 말하다 3편 김철원2021년 09월 19일 09시 00분 (앵커) 복잡한 이슈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시간, 정면응시입니다. 오늘도 김철원 기자 나왔습니다. 김 기자, 3주째 광주의 아파트 문제를 점검하고 있는데 이번 주는 어떤 얘기입니까? (기자) 네. 지난 2주 동안 광주 지역 아파트 문제를 다뤘습니다.광주에 아파트는 왜 이렇게 많은가. 가격은 왜 계속 오르고 있는가. 새로 세워지는 아파트들은 왜 하나같이 다 고층아파트들인가. 이런 얘기를 드렸죠. 여기에 법정기구인 광주 도시계획위원회의 책임도 상당 부분 있다. 이런 말씀도 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좀 개선방안은 없겠는지를 살폈는데요. 다른 시도, 다른 지역의 취재를 한 사례를 먼저 보고 얘기를 나누시.. 2021. 12. 6.
광주도시계획위원회 13년간 부결 '0건'- 리포트 2586 광주도시계획위원회 13년간 부결 '0건' 김철원2021년 09월 15일 20시 47분 (앵커) 광주 학동 붕괴 참사가 발생한 지 꼭 100일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제대로된 진상 조사와 책임자 처벌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재개발 사업에 대한 의결권을 쥐고 있는 도시계획위원회가 제 역할을 했다면, 참사를 막을수 있지 않았을까 안타까움이 남는데요. 외국에서는 회의 과정을 공개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는데, 비공개로 진행되는 광주시 도시계획 위훤회에서는 지난 13년 동안 단 차례의 부결도 없었습니다. 김철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6월 학동참사가 일어난 학동4구역 주택재개발사업. 2천3백세대가 입주하는 최고층수 29층 아파트 19개 동 건설사업이 추진될 수 있었던 건 지난 2015년 광주 도시.. 2021.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