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다/방송과 기사

2017.6.26 광주수영대회 하이다이빙 수영장 어디로? - 리포트 2202

by K기자 2018. 11. 8.




[스포츠] 광주수영대회 하이다이빙 경기장 어디로?

(앵커)

2년 뒤 광주에서 열리는
세계수영대회에는
20미터 이상의 높이에서 뛰어내리는
'하이다이빙' 종목이 있습니다. 

보통 지역의 랜드마크에서 열리는데,
경기장 입지를 놓고
광주시와 조직위원회가
고민에 빠졌습니다. 

김철원 기자입니다. 

(기자)

물에 뛰어들기 전 긴장한 표정이 역력한 다이빙 선수.

선수의 준비동작을 포착하던 카메라 앵글에 러시아 궁전들을 비롯한 카잔 도심의 아름다운 시내풍경이 잡힙니다. 

2015년 러시아 카잔에서 열린 수영선수권대회에서 전 세계인들에게 카잔이라는 도시를 알린 히트상품은 야외에서 열린 '하이다이빙' 경기였습니다.

남자는 건물 9층 높이인 27미터, 여자는 20미터의 높이에서 물 속으로 뛰어드는 '하이다이빙'은 일반 다이빙 경기보다 높이가 3배에서 많게는 6배까지 더 높아 박진감이 넘칩니다. 

보통 개최지의 강이나 호수, 바다에서 열리는데 여의치 않으면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에 수조를 설치해 치르기도 합니다.

광주 수영대회가 수조를 설치해 치러야 하는 상황.

그런데 이 하이다이빙 경기장 입지를 두고 광주시와 조직위원회가 고민에 빠졌습니다.

당초 광주시청 문화광장에 6미터 수심의 수조와 다이빙대를 설치하려고 했는데 땅에 묻혀 있는 각종 관과 선 때문에 공사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입니다.

대안으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풍암호수공원, 상무시민공원, 무등경기장 등을 놓고 고심중이지만 마땅한 곳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고응석/2019 광주수영대회 조직위 대회지원부장
"광주를 가장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장소임과 동시에 또 기술적 안전성, 임시풀을 서?해서 운영하는 문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선수들의 안전과 지역 홍보, 비용과 흥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하이다이빙 경기장 입지 문제, 결정이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MBC뉴스 김철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