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다/방송과 기사

2008.12.24 연말기획 미국산쇠고기와 촛불집회 - 리포트 960

by K기자 2018. 2. 19.



http://bit.ly/2sAVr71

연말기획)쇠고기와 촛불집회(R)

  • 날짜 : 2008-12-24,   조회 : 48

(앵커)
올 한해 우리 지역 사회를 뜨겁게 했던 사안을
돌아보는 시간입니다.

미국산 쇠고기 협상에서 비롯된
먹을거리 파동과 촛불집회는 
우리 지역민들에게도 큰 관심사였습니다.

미국산 쇠고기와 촛불집회가
지역 사회에 남긴 것들을 되돌아봅니다.

김철원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4월 미국과 쇠고기 협상이 타결된 직후에는 국민들의 걱정이 농민들에게 집중됐습니다.

가격이 싼 미국산 쇠고기 때문에 한우농가들이 줄도산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는 농민들의 잇딴 자살이라는 현실로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녹취)자살농민 이웃 주민(5월 5일 뉴스데스크)
"한우값이 계속 떨어지고 있으니까 이제 희망이라는게 손톱만큼도 없었던 거죠."

하지만 미국산 쇠고기가 광우병 위험에 노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나이 어린 학생들이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섰습니다.

(인터뷰)문승리 촛불집회 참여 고교생(5월 10일 뉴스데스크)
"인터넷으로 광우병에 대한 그런 걸 많이 봤는
데요. 저희가 참여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왔어요."

결국 어른들까지 촛불 집회에 참여하며 금남로는 초여름 지역 정국을 뜨겁게 달궜습니다.

시민들은 국민과 소통하지 않는 정권에 대해 불신과 분노를 표출했습니다.

(인터뷰)박수희 촛불집회 참여시민
(6월 9일 뉴스데스크)
"이제 좀 제발 귀를 열고 국민의 목소리를 들으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학교 급식에 미국산 쇠고기를 쓰는 것을 반대한다는 현수막이 학교마다 내걸렸고 먹거리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미국산 쇠고기를 한우로 둔갑시켜 팔다 적발된 광주의 한 대형 음식점은 문을 닫았고 식당의 원산지 표시제가 강화됐습니다.

(인터뷰)정영희 시민(10월 1일 뉴스데스크)
"끝까지 관심을 갖고 하면 음식 가지고 누가 장
난치는 사람이 없을테니까......"

(스탠드업)
미국산 쇠고기 사태는 시민들에게는 먹을거리에 대한 불신과 소통하지 않는 정부에 대한 분노를 불러 일으켰고 정권에게는 민심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가를 확인시켜준 사건이었습니다.
MBC뉴스 김철원입니다.

영상취재 이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