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 빠진 헬기 사격 진실…"특별법 만들어야"
◀ 앵커 ▶
그런데 오늘 발표에 미진한 부분이 있습니다.
사격하라는 명령 일지는 확인했지만 누가 명령했고 누가 몇 발을 어디에 쐈는가라는 구체적인 작전 상황은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5.18 단체들의 반응과 지적을 김철원 기자가 지적합니다.
◀ 리포트 ▶
5.18 단체들은 정부가 군 당국의 헬기 사격을 처음 공식 확인한 데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아쉽다는 반응도 함께 나왔습니다.
총을 쏘라고 명령한 책임자는 물론 실제 총을 쏜 군인이 누군지 전혀 밝혀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김양래/5.18 기념재단 상임이사]
"현재는 솔직히 말해서 주어가 빠진 채 나온 내용이거든요. '가해자가 특정되지 않은 채 헬기 사격이 있었다'…."
이들 단체는 또 수사권이 없는 특조위의 한계도 드러났다고 지적했습니다.
5.18 관련 자료들이 전두환 정권 때 이미 조작되거나 삭제됐고, 당시 군인들 상당수가 증언을 거부했지만, 특조위로선 조사를 강제할 권한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특조위 활동이 지금까지 나온 광주 목격자들의 증언을 확인한 수준에 그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특히 5.18 진상 규명의 최대 과제인 전남도청 앞 짚단 발포의 책임자를 밝혀내려면 강제 조사가 절실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래서 보다 강력한 조사 권한을 갖는 진상규명위원회 출범을 내용으로 하는 5.18 특별법이 발의됐지만, 아직껏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철원입니다.
'쓰다 > 방송과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2.11 기아타이거즈 V12 담금질 - 리포트 2268 (0) | 2018.11.21 |
---|---|
2018.2.8 박준영*송기석 의원직 상실형 - 리포트 2267 (0) | 2018.11.21 |
2018.2.7 (대담)안종철 5.18특조위원 - 리포트2265 (0) | 2018.11.21 |
2018.2.7 5.18특조위 한계와 과제는 - 리포트2264 (0) | 2018.11.21 |
2018.2.6 백화점, 대형마트는 북새통 - 리포트 2263 (0) | 2018.11.21 |